노원구청,
아파트·학교·유치원 대상
생활권 내 유휴공간에
5년 유지·관리 협약 필수

노원구청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100만 그루 나무심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달 26일 밝혔다.
노원구는 지난해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 주관한 ‘탄소중립 선도도시’ 사업에서 최종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를 계기로 구청은 도시 전역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실천 사업을 발굴·추진하고 있다.
구청은 ‘100만 그루 나무심기’ 사업을 통해 아파트 단지, 학교 공터 등 생활권 내 유휴 공간에 탄소흡수 거점 공간으로 ‘생활숲’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아파트,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등 해당 공간의 관리책임자가 신청하면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생활숲으로 조성할 수 있다.
조성 후에는 5년간 유지관리 협약을 체결해야 한다.
대상지는 공공성과 접근성, 부지적합성, 탄소저감 효과, 주민참여 의지 등을 기준으로 선정한다.
생활숲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인근 생활권과의 연계성 및 휴식·산책 등 활용성이 높아야 한다. 경관 개선 필요성과 탄소 흡수 적합 수종 여부도 평가된다.
특히 나무 심기 단계부터 조성 이후 유지·관리까지 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참여 신청은 오는 12일까지다. 이후 현장조사 및 ‘노원구 도시숲 등의 조성・관리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된다. 식재는 10월부터 11월 사이에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구청은 지난 7월, ‘탄소중립국’을 신설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행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생활숲 조성은 구민이 일상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일”이라며 “이 사업을 통해 탄소 흡수 기반을 넓히고, 탄소중립 선도도시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